사주의 구조와 구성에 대해 알아보자.
앞선 포스팅에 말했듯 사주팔자는 4개의 기둥과 8개의 글자를 뜻하는데, 아래의 표를 참고해서 살펴보고자 한다.
사주 구조 및 구성
사주팔자 | 시주 | 일주 | 월주 | 년주 |
천간 | 시간 | 일간 | 월간 | 년간 |
지지 | 시지 | 일지 | 월지 | 년지 |
시기 의미 |
말년(61-80세) 내면 / 자녀 |
중장년(41-60세) 가정 / 나, 배우자 |
청년(21-40세) 국가 / 부모, 형제자매 |
초년(1-20세) 나라 / 조상, 조부모 |
1. 연월일시주
사주를 볼 때 연월일시가 모두 필요한 이유가 있다. 태어나는 때에 따라 10개의 천간, 12개의 지지 중 8개의 글자가 내게 부여되고, 대운이 결정되기 때문이다. 옛날에는 태어난 시간이 정확하지 않은 경우가 꽤 있었기에 살아온 환경과 성격 등을 보며 시간을 유추하기도 했다. 현대에 와서는 대부분의 아이가 병원에서 태어나고 시간 역시 전산상에 저장되기에 본인 연월일시에 대한 의문은 없을 것이다.
+ 사주를 볼 때 양력, 음력의 구분은 상관없다. 내 또래만 해도 음력 생일을 쓰는 경우가 거의 없어 혹시나 하는 마음에 이 부분을 추가한다. 윤달에 태어난 경우가 아니라면 양력이든 음력이든 사주는 같다.
2. 천간과 지지
표에서 연지, 월지, 일지, 시지 외에 주목해야 할 것이 바로 천간과 지지다. 요즘은 계약서에 '갑', '을'이라고 쓰는 회사가 많이 줄기는 했지만 가장 가까이서 찾아볼 수 있는 천간 글자가 바로 이 계약서에 등장한다.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 10글자,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 12글자가 바로 천간과 지지다. 이 부분은 음양오행과 함께 더 자세히 다룰 예정이기에 각각이 가진 의미에 대해서만 간단하게 짚고 넘어가고자 한다.
- 천간(10개) : 이상, 생각, 정신, 원인
- 지지(12개) : 현실, 행동, 육체, 결과
3. 대운과 세운
대운은 10년간 유지되는 큰 운이고, 세운은 1년간 유지되는 작은 운, 그리고 하위 개념으로 월운, 일운이 있다. '대운이 들어왔다'고 하는 말은 사실 '(본인에게 좋고 유리한) 대운이 들어왔다'라고 이야기하는 게 맞다.
1) 대운(10년 운)
- 사주팔자를 가지고 살아가야 하는 환경
- 대운이 바뀌는 시기는 사주 원국에 따라 다르다.
2) 세운(1년 운)
- 부각되는 기운
- 모두에게 똑같이 주어지는 글자 (예. 2023년은 계묘년으로 모두에게 똑같이 주어지는 세운이다)
절기
사주는 절기를 기준으로 돌아간다. 24절기는 24절기는 태양의 움직임에 따라 1년을 24개로 나눠서 이름 붙인 것이다. 이 24 절기는 다시 12개의 절기와 12개의 중기로 나뉘는데, 매월 찾아오는 2개의 절기 중 앞에 오는 것이 절기, 뒤에 오는 것이 중기다.
한 해의 시작은 1월 1일이지만, 사주 명리학에서 한 해의 시작은 입춘이다. 입춘 전에 태어난 아이는 전년도에 태어난 아이와 띠가 같기 때문에 이 띠를 기준으로 논란의 '빠른 년생'이 탄생했다고 볼 수 있다.
[봄]
월(음력) | 절기 | 날짜(양력) | 절기 | 날짜(양력) |
1월 | 입춘 | 2월 4일 | 우수 | 2월 18일 |
2월 | 경칩 | 3월 5일 | 춘분 | 3월 20일 |
3월 | 청명 | 4월 5일 | 곡우 | 4월 20일 |
[여름]
월(음력) | 절기 | 날짜(양력) | 절기 | 날짜(양력) |
4월 | 입하 | 5월 5일 | 소만 | 5월 21일 |
5월 | 망종 | 6월 5일 | 하지 | 6월 21일 |
6월 | 소서 | 7월 7일 | 대서 | 7월 22일 |
[가을]
월(음력) | 절기 | 날짜(양력) | 절기 | 날짜(양력) |
7월 | 입추 | 8월 7일 | 처서 | 8월 23일 |
8월 | 백로 | 9월 7일 | 추분 | 9월 22일 |
9월 | 한로 | 10월 8일 | 상강 | 10월 23일 |
[겨울]
월(음력) | 절기 | 날짜(양력) | 절기 | 날짜(양력) |
10월 | 입동 | 11얼 7일 | 소설 | 11월 22일 |
11월 | 대설 | 12월 7일 | 동지 | 12월 21일 |
12월 | 소한 | 1월 5일 | 대한 | 1월 20일 |
만세력
만세력이란 연월일시에 따른 60갑자를 적어놓은 달력이다. 이 만세력으로 원국과 대운 등을 계산하여 찾을 수 있다. 철학관에 가면 커다란 책을 꺼내 만세력을 보시지만, 우리는 두꺼운 책 대신 앱을 통해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. 앱스토어에서 만세력을 검색하면 많은 종류의 무료 만세력 앱이 나오는데 나는 '만세력 천을귀인'을 주로 쓴다. 이전에 '원광만세력'을 쓰기도 했지만 메모가 가능한 점, 일진 달력이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'만세력 천을귀인' 앱이 더 유용하게 느껴져 갈아탔다. (두 앱의 장점을 합칠 수 있다면 참 좋을 텐데! 능력만 된다면 앱 개발 하고 싶다.)
* 무료 만세력 앱 *
- 만세력 천을 귀인
- 원광만세력
- 하늘도마뱀
- 정확한 만세력 등
'사주 명리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공부] 사주 공부 기록하기 | 0. 서론 (0) | 2023.06.27 |
---|